클라우드 서비스의 인증과 보안 (HTTPS)

HTTPS

API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인 HTTP는 통신 내용을 평문으로 전달된다. 그래서 도청하면 내용을 그대로 알 수 있게 된다.
HTTPS는 통신 내용에 보안이 중요한 내용을 다룰 때 사용되는 기술이다. HTTP over SSL/TLS이라는 의미다. HTTPS는 포트번호로 443을 사용한다.
SSL/TLS는 OSI 참조모델에서 L4인 전송 계층에서 적용된다.

SSL과 TLS
둘다 인터넷 상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SSL은 1990년대에 개발되었지만 3.0까지만 지원하고 보안 취약점이 많다. 그래서 SSL의 후속버전인 TLS이 1999년에 개발됐다. 현재는 TLS가 SSL의 대체제로 널리 사용된다.

인증서와 암호화 방식

HTTPS에는 인증서가 사용된다. 인증서는 크게 서버 인증서와 클라이언트 인증서로 분류된다. 기본적으로 HTTPS에서는 서버 인증서로 서버의 신원을 검증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신원을 검증하는 클라이언트 인증서를 사용해서 보안 수준을 높일 수 있으나, 서버 인증서만 적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클라이언트 검증은 HTTP 헤더의 User-Agent 정보를 활용해서 알아내는 등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검증할 수 있다.

이런 인증서는 인증기관에서 발급한다.

통신 내용을 암복호화 하려면 키가 필요하다. 키를 활용하는 방식은 공유 키 암호화 방식과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이 있다.

**공유 키 암호화 방식(대칭키 암호화 방식)**은 하나의 키로 암호화와 복호화에 모두 사용하는 방식이다.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키를 사용해서 속도가 빠르고 구조가 간단하다. 반면 하나의 키를 안전하게 보관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공개 키 암호화 방식(비대칭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와 복호화에 서로 다른 두 개의 키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공개 키는 누구나 알 수 있다. 하지만 비밀 키는 자신만 알 수 있게 한다.
공개 키로 암호화하면 비밀 키로 복호화 할 수 있다. 비밀 키로 암호화하면 공개 키로 복호화 할 수 있다.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은 더 안전한 대신 공유 키 암호화 방식에 비해 느리다.

HTTPS 암호화 방식

HTTPS는 공유 키 암호화 방식과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처음에 공유 키를 공개 키 암호화 방식으로 안전하게 전달하고, 전달된 공유 키로 빠르게 암호화 통신을 하게 된다.
구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1. 일단 웹 브라우저는 인증 기관들과 각 인증 기관들의 공개 키를 알고 있다.

웹 브라우저는 인증 기관들과 각 인증 기관들의 공개 키를 알고 있다.
즉 웹 브라우저는 인증 기관들이 비밀 키로 암호화 한 내용을 복호화할 수 있고, 웹 브라우저가 암호화한 내용을 인증 기관이 복호화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들이 가지고 있는 인증 기관들의 공개 키는 인증 기관이 발급한 인증서를 복호화할 때 사용된다.

2. 웹 서버는 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서를 발급받는다.

웹 서버는 사이트 정보와 자신의 공개키를 인증기관에 전달하여 인증서를 발급받는다.
인증 기관은 사이트 정보와 사이트 공개키를 인증 기관의 개인 키로 암호화하여 인증서를 발급한다.

인증 기관 (CA, Certificate Authority)
인증 기관은 공개키와 공개 DNS명의 연결을 보장한다. 웹 서버가 인증 기관으로 부터 서버 인증서를 발급받으려 할 때 사이트 정보와 자신의 개인키를 전달한다.
인증 기관은 자신의 개인 키로 웹사이트의 공개키를 암호학적으로 사인한 인증서를 만들어서 웹 서버에게 전달한다.
이제 인증 기관이 발급한 인증서는 웹 브라우저가 가진 인증 기관의 공개키로 복호화 할 수 있고, 인증서를 복호화하면 웹 서버의 개인키를 얻을 수 있게 된다.

3. 클라이언트와 웹서버에 접근하여 인증서를 검증하고 대칭키를 발급한다.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통신하려고 할 때 SSL 핸드쉐이크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서로 암호화 알고리즘을 정하거나 인증 방시을 정한다.
또한 서버의 인증서를 전달받아서 브라우저가 인증 기관의 개인키로 복호화한다. 이를 통해 서버가 인증 기관이 검증한 서버임을 알 수 있고, 서버의 개인키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측에서 데이터 암호화 복호화에 쓰일 대칭키를 정하고 서버의 개인키로 암호화해서 서버에게 알린다.
이제 대칭키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데이터를 암호화 복호화해서 주고 받게 된다.
세션이 종료되고 나면 대칭키를 폐기한다.

사용자, 그룹, 롤, 정책

클라우드에서 인증하는 단위와 권한 제어 방식에 대해 살펴보자.

테넌트

태넌트는 클라우드 서비스애서 최상위 개념이다. AWS에서는 어카운트가 테넌트 개념에 해당한다.
원착적으로 태넌트는 여러 태넌트애 걸쳐서 작업을 하지 못한다. 클라우드는 인증도 리소스의 일종이라 적어도 하나의 태넌트애 속한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여러 테넌트애 걸쳐서 인증하는 방법도 있다.

사용자

클라우드에서는 API를 실행하게 하는 액터가 존재한다. 액터는 즉 사용자를 의미한다.
클라우드에서는 사용자도 리소스의 종류로 취급한다.
처음 클라우드를 구성할 때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도 없다. 대신 클라우드에는 테넌트에 연결된 특별한 관리자 계정이 있다.
이 관리자 계정을 사용자처럼 사용해서 리소스를 생성한다. 관리자 계정은 막강한 권한이 있어서 운영 시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관리자 계정으로 사용자를 만들고 권한을 할당해서 사용하도록 한다. 권한을 할당하려면 정책을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할당해야 한다.

그룹과 정책

클라우드에는 사용자를 그룹으로 묶을 수 있다. 그룹 단위로 정책을 할당하여 많은 사용자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
정책은 권한을 제어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다. 클라우드 리소스 중 통제가 필요한 대상에 정책으로 접근이나 실행을 제한할 수 있다.
정책은 액션과 리소스의 집합체에 대해 이펙트를 허가하거나 거부하는 방식으로 JSON 형식으로 나열한다.

AWS IAM 정책의 기본 요소

  • 이펙트 : 허가하면 ‘Allow’, 거부는 ‘Deny’로 표현
  • 액션 : 허가 혹은 거부할 액션 API를 기재
  • 리소스 : 허가하거나 거부할 리소스를 ARN 형식으로 기재. (ARN은 아마존 리소스 이름 형식.)

정책에 정해지지 않은 것은 묵시적인 거부로 판단한다. 만약 하나의 액션이나 리소스에 여러 이펙트가 정의되면 다음 우선순위로 적용한다.
명시적인 Deny > 명시적인 Allow > 묵시적인 Deny

그 외 정책 규칙은 다음 문서를 참고하자. (https://docs.aws.amazon.com/ko_kr/IAM/latest/UserGuide/reference_policies_grammar.html)
JSON으로 일일히 작성하기 까다로우니 Policy Generator를 사용하고, 실제로 잘 작동하는지 확인할 때 Policy Simulator를 사용할 수 있다.

인증 키와 토큰

인증 키

사용자가 인증하려면 ID와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인증 키가 필요하다. AWS는 콘솔, API, CLI, SDK에 따라 인증 방식이 약간 다르다. 콘솔에서는 패스워드로 인증하고, 그외는 ID에 상응하는 액세스 키와 시크릿 액세스 키를 사용한다.

토큰

설정 파일에 패스워드를 미리 넣어두거나, 헤더나 쿼리 파라미터로 패스워드를 전달하는 방식은 매우 위험하다. 그래서 유효 기간이 정해진 임시 비밀번호를 발급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임시 비밀번호를 토큰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로 토큰을 발급받고 API호출할 때 사용한다. AWS는 STS라는 서비스가 임시 자격 증명 토큰 발급을 해준다. AWS는 토큰과 액세스 키(아이디)를 조합해서 API를 호출한다.
토큰은 임시 비밀번호 역할 뿐만 아니라 IAM 롤과 페더레이션에도 사용된다.

서명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기전에 클라이언트가 실존하는지, 전송된 데이터가 위변조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게 전자 서명이다.
CLI나 SDK는 내부적으로 이런 과정을 거치지만 API는 전자 서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전자 서명을 위해서는 요청 정보의 해시 값과 요청 값, 시크릿 액세스 키를 조합하여 만든다. 이때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SHA이고, 해시 값에따라 버전이 달라진다.
시크릿 액세스 키로부터 서명 키를 얻어내고, 본문 페이로드로부터 해시(서명 문자열)을 얻어낸다. 서명 키를 해시 키로 서명 문자열을 해시 처리하면 서명 값이 나온다.
서명 값을 HTTP 헤더의 Authorization에 설정되면 전자서명이 이뤄진다.

IAM 롤과 리소스 기반 정책

정책인 기본적으로 사용자와 그룹에게 적용된다. 하지만 리소스 지향적인 관점으로 리소스에 정책을 할당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AWS에서는 IAM롤과 리소스 기반 정책을 사용한다. IAM 롤은 리소스에게 정책을 부과한다. IAM 롤은 내부적으로 STS를 통해 토큰을 발행받아서 API를 실행할 때 다른 인증 키가 필요없다.
IAM 롤은 어떤 리스소가 특정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다루는 정책을 관리한다. 즉 API 호출하는 주체가 중점이 된다. 그래서 IAM 롤은 API 호출 주체에게 할당한다.
반면 리소스 기반 롤 정책은 관점이 다르다. 접근이 되는 대상이 중점이 된다. 즉 API 호출 대상이 중점이 된다. 이때 호출 대상을 호출하는 주체를 Principal이라는 이름으로 관리한다. 리소스 기반 롤 정책은 호출 대상 리소스에 할당한다.

복수 테넌트에 대한 제어 권한

일반적으로 테넌트는 다른 테넌트와 분리되어 있다. AWS에서는 인증도 테넌트의 리소스에 속하므로 테넌트를 넘나드는 작업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하다.
하지만 정책을 통해 권한을 부여하면 테넌트를 넘나드는 작업이 가능하다.

일단 오픈스택에서는 여러 테넌트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를 만들 수 있다. 다만 각 테넌트의 토큰이 서로에게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테넌트의 리소스를 다룰때는 해당 테넌트의 토큰을 발급받아 사용해야 한다.
한편 AWS에서는 한 테넌트의 관리자 계정이 다른 테넌트의 리소스를 접근하지 못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IAM 롤을 잘 활용하면 된다.
먼저 접근을 허용할 테넌트의 IAM 롤에 AssumeRole API에 대해 Principal에 접근할 테넌트의 어카운트 번호를 입력한다. 이러면 해당 테넌트가 일부 리소스에 대해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당연히 제 3자의 접근을 막기 위해 Principal에서 접근을 허용할 테넌트의 정보만 적어줘야 한다.

페더레이션

인증이 필요한 API를 사용할 때 인증을 다른 서비스의 계정에 권한을 위임하는 것을 페더레이션이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다른 SNS 계정으로 로그인 가능한 사이트들이 페더레이션을 사용한 예시다.

인증 권한을 위임받아서 처리하는 서비스를 ID 프로바이더라고 하고 또다른 ID를 사용하는 시스템과 상호 신뢰 관계를 맺어 통합 인증을 구현한다.

대표적인 방법들

통합 인증 방식은 SAML, OIDC, WebID로 구현할 수 있다.
SAML은 인증 인가에 필요한 정보등르 기술하는 마크업 언어다. SAML을 HTTP(HTTPS)로 주고받으면 통합 인증이 되는 방식이다. SAML의 메타 데이터는 클라우드 측에서 제공한다.
OIDC는 OAuth 2.0을 채용하여 웹 API를 통한 접근 제어하는 방법이다.

AWS에서는 ID 인증과 페더레이션 처리가 되어 인증 어썰션을 취득한다.
인증 어썰션을 기반으로 STS에서 토큰을 발급받아서 API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Share